국내 OTT 플랫폼의 해외 진출 방안

국내 OTT 플랫폼의 해외 진출 방안
  • December 2024
‘K-Something’으로 대변되는 한국 문화의 글로벌 인기의 시초는 음악과 드라마였지만, 현 시점에서 극명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습니다. PwC컨설팅은 국내 OTT 플랫폼의 현 상황을 진단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안을 제안합니다.

K-팝과 K-드라마의 세계화 차이

  • K-팝 산업은 아티스트의 소속 기획사가 아티스트 관련 IP 전체를 보유. 수익을 아티스트와 양분하는 구조로 지속적인 수익원을 창출하고 있으며, COVID-19 이후 가파르게 성장
  • ‘오징어 게임’과 같은 K-드라마는 관련 IP를 해외 자본이 보유하며 대부분의 수익을 얻는 구조이므로 제작사들의 성장이 제한적  

국내 4대 엔터테인먼트사 매출 성장 추이 (단위: 조 원)

출처: DART


국내 OTT 해외 진출의 어려움

  •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 성사 시 영상 콘텐츠와 관련된 국내 대형 기업들 다수가 참여한 ‘국가대표 OTT 플랫폼’이 출범 가능
  • 통합 플랫폼의 주주들은 국내 시장에서 지속적인 적자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해외 진출에 대한 우려를 제기. 배우 및 기획사가 해외 플랫폼의 콘텐츠 출연을 선호하는 경향이 방해 요소로 작용

티빙과 웨이브 지분 구조 및 실적 (%)

출처: 증권사 리포트


국내 통합 플랫폼의 도전 과제

  • 애니메이션에 특화된 OTT로 성공을 거둔 라프텔처럼, 통합 플랫폼은 틈새 시장을 공략하여 향후 글로벌 OTT 시장에 포지셔닝 확대 필요
  • 국내 대형 OTT 플랫폼이 제작사에게 친화적인 계약 조건을 통해 협업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제작사의 근본적인 경쟁력 제고 기대

 

국내 OTT 플랫폼의 해외 진출 방안

Download the PDF (PDF of 1.08mb)